📑 목차
AI비서와 라즈베리파이 일정 데이터 자동 수집과 AI 요약 기능 구현
라즈베리파이 AI비서가 제공하는 핵심 기능 중 하나는 “일정 자동 요약”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스마트폰 화면을 보기 전에 AI비서가 먼저 오늘 일정을 정리해 알려주고, 출근 준비를 하면서도 하루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는 경험. 이 기능은 AI비서 시스템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이번 글에서는 일정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구조, 일정 데이터 정규화 방식, AI 요약 로직 구성, 결과물 저장 및 알림까지 전체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한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일정 자동 수집 기능이 중요한 이유
AI비서는 단순히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필요한 데이터를 스스로 가져오는 능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일정 자동 수집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사용자가 매번 데이터를 직접 전달할 필요가 없음
- 매일 반복되는 작업이므로 자동화 가치가 높음
- 일정 변경·추가 사항을 실시간 반영 가능
- 아침 루틴 자동 생성 기능의 핵심 구성 요소
- AI 분석 정확도가 높아짐
일정 데이터는 AI비서가 사용자에게 가장 자주 제공해야 하는 정보이며, 비서 역할을 체감하게 해주는 대표 기능이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일정 데이터 자동 수집 구조
일정 데이터는 다음 구조를 통해 자동 수집된다.
스마트폰이 일정 데이터를 JSON으로 생성하고
라즈베리파이에 전달하면
AI비서는 이 파일을 감지한 뒤 자동으로 처리한다.
일정 JSON 예시
이 JSON은 매우 가볍고,
AI 분석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일정 데이터 정규화
라즈베리파이는 일정을 AI가 이해하기 좋은 구조로 정리해야 한다.
정규화 단계
- 날짜 형식 통일
- 시간대 분류 (오전/오후/저녁)
- 우선순위 구분
- 일정 제목 전처리(특수문자 제거 등)
- 일정 길이 확인
- 비어 있는 일정 처리
정규화는 processing/schedule 폴더에서 수행된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일정 요약 AI 요청 생성
정규화된 일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요청 메시지가 생성된다.
기본 요청 구조
요청 본문
정규화된 JSON 포함
옵션
- 응답 길이 제한
- 요약 방식 지정
- 시간순 정렬 여부
이렇게 구성된 요청은 API 호출 구조로 전달된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일정 요약 AI 응답 처리
AI 모델로부터 요약 결과를 받으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1) 결과물 저장
output/summary/YYYY-MM-DD.txt
2) 사용자 전달 준비
스마트폰/PC 전송
아침 알림 생성
3) 로그 기록
실행 시간, 성공/실패, 응답 소요시간 기록
4) 오류 대응
요약 실패 시 기본 스켈레톤 메시지 생성
예:
“오늘 일정 3건이며, 주요 일정은 오전 회의입니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일정 자동화 스크립트 구성
일정 자동 요약을 위한 스크립트는 다음 형태로 구성된다.
자동화 작업 흐름
- input/schedule 폴더에서 최신 파일 감지
- JSON 구조 검증
- 날짜 확인
- processing/schedule로 이동
- 정규화 실행
- AI 요청 생성
- API 호출
- 결과물 저장
- 알림 생성
- 로그 기록
이 작업은 라즈베리파이의 자동화 스케줄러에서 매일 아침 자동 실행된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일정 기능의 심화 자동화
기본 일정 요약이 완성되면 다음 단계로 확장할 수 있다.
1) 일정 우선순위 분석
미팅/운동/업무/이동 시간 분류
2) 이동 시간 고려
네비게이션 기반 예측(구현 가능)
3) 작업 추천
“오늘은 에너지 관리가 필요합니다. 점심 이후 15분 휴식 추천.”
4) 일정 충돌 감지
겹치는 일정 감지 후 사용자에게 자동 안내
5) 일정 기반 하루 계획표 생성
하루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한 한 장의 요약 파일 생성
이 단계는 시즌9에서 다룰 고급 기능과 연결된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일정 데이터 오류 처리
일정 데이터 자동 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는 다음과 같다.
- JSON 파싱 오류
- 빈 파일
- 시간 형식 오류
- 중복 일정
- 지나간 일정
- 날짜 없는 데이터
오류 발생 시 다음과 같은 처리 과정을 거친다.
- logs/errors 폴더에 기록
- 사용자에게 안내 메시지 생성
- 잘못된 파일을 별도 폴더로 이동
- 필요 시 기본 요약 제공
오류 대응이 완성되면 자동화 시스템이 실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아침 일정 자동 요약 루틴
실제 운영 시 하루 아침 루틴은 다음 순서로 실행된다.
- 새벽 시간대 스케줄러가 일정 업데이트 확인
- 아침 6~7시 사이 자동 요약 실행
- output/summary 폴더에 파일 생성
-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
- 로그에 결과 기록
- NAS로 자동 백업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그날의 핵심 내용을 받아보게 된다.
라즈베리파이 AI비서 일정 자동 요약은 AI비서의 본격적인 시작
일정 자동화 기능은 AI비서가 실생활에서 “쓸모 있는 존재”가 되는 첫 단계이다.
사용자의 개입 없이 데이터를 가져오고 분석하고 전달하는 구조는
AI비서 시스템의 핵심 가치이자 진짜 자동화의 시작이다.
시즌8-3까지 완료하면
이제 AI비서가 단순한 시스템이 아니라
사용자의 하루를 관리하는 지능형 비서로 발전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시즌8-4: 음성 메모 자동 분석 기능
으로 넘어가서, AI비서가 음성 데이터를 자동 변환·요약하는 기능을 구축한다.
'AI 비서와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비서와 라즈베리파이 AI 요청 자동화 로직 만들기: 반복 작업을 지능적으로 실행하는 구조 (0) | 2025.11.19 |
|---|---|
| AI비서와 라즈베리파이 AI 기능 구현의 시작: API 연결과 기본 AI 요청 구조 만들기 (0) | 2025.11.19 |
| AI비서와 라즈베리파이 자동화 준비 단계: AI비서가 작동할 수 있는 기본 틀 만들기 (0) | 2025.11.18 |
| AI비서와 라즈베리파이 AI비서용 디렉토리 구조 설계: 데이터 흐름 기반 폴더 트리 만들기 (0) | 2025.11.18 |
| AI비서와 라즈베리파이 필수 패키지 설치와 환경 정리: AI비서가 안정적으로 일하기 위한 기반 구축 (0) | 2025.11.18 |